실버를 위하여

고혈압약 꼭 먹어야 할까요?

YJ Frog 2025. 4. 1. 14:17
반응형

 

고혈압약 꼭 먹어야 할까요? 복용 시기부터 부작용까지 한 번에 정리!

“혈압이 좀 높다는데… 약을 먹어야 할까?”
“한 번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는 거야?”

저도 최근에 가족 중 한 명이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서 고혈압약에 대해 이것저것 알아보게 됐어요. 그래서 오늘은 혈압약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한 번에 정리해보았습니다!

✅ 고혈압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분류 수축기 혈압 (최고혈압) 이완기 혈압 (최저혈압)
정상 혈압 120 mmHg 미만 80 mmHg 미만
고혈압 전단계 120~139 mmHg 80~89 mmHg
고혈압 1기 140~159 mmHg 90~99 mmHg
고혈압 2기 160 mmHg 이상 100 mmHg 이상
고혈압 위기 180 mmHg 이상 120 mmHg 이상

👉 수축기 140 이상 또는 이완기 90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분류돼요.
혈압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여러 번 측정하고 평균을 보는 것이 중요해요.

👵 연령대별로 고혈압 기준이 다를까요?

예전에는 “나이 + 100이 적정 혈압”이라는 말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연령과 무관하게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 고혈압 기준은 연령 상관없이 다음과 같아요:
- 수축기 140mmHg 이상
- 또는 이완기 90mmHg 이상

이 기준은 청년이든 고령이든 동일하게 적용돼요.

하지만 연령에 따라 치료 접근은 달라질 수 있어요

연령대 치료 방향
20~60대 기준 초과 시 적극적인 약물 치료 + 생활습관 개선
65세 이상 무리한 혈압 강하보다 낙상·어지러움 등 부작용 고려
75세 이상 치매, 뇌졸중 예방 목적 치료 / 부작용 최소화 중요
나이가 많다고 혈압이 높아도 괜찮은 건 아니에요.
다만, 고령자는 부작용을 고려해 천천히, 부드럽게 조절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

💊 혈압약, 꼭 먹어야 하나요?

고혈압은 ‘조용한 살인자’로 불릴 만큼 증상이 없지만, 혈관과 장기를 손상시킬 수 있어요.
일정 수치 이상이면 약물 치료가 꼭 필요합니다.
약만큼이나 생활습관 개선도 병행해야 해요.

🕐 혈압약은 언제 먹어야 하나요?

  •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하는 게 중요해요.
  • 보통 아침 식후에 복용하지만, 사람에 따라 밤에 먹는 게 효과적인 경우도 있어요.
  • 의사와 상담 후 나에게 맞는 시간에 꾸준히 복용하세요!

🧪 혈압약 종류, 이렇게 다양해요!

약 종류 작용 방식
이뇨제 염분과 수분 배출로 혈압 감소
ACE 억제제 혈관 확장 유도
ARBs ACE 억제제보다 부작용이 적음
칼슘 채널 차단제 혈관 및 심장 수축 기능 조절
베타 차단제 심박수 감소로 혈압 감소

⚠️ 혈압약, 부작용은 없을까요?

  • 어지러움, 피로감
  • 기침 (특히 ACE 억제제)
  • 손발 부종 (칼슘 채널 차단제)
  • 성기능 저하 (베타 차단제)

대부분의 부작용은 일시적이거나 약을 바꾸면 해결 가능합니다. 불편하면 의사와 상담해보세요!

❗ 혈압약 안 먹으면 어떻게 되나요?

약을 복용하지 않고 고혈압을 방치하면 다음과 같은 합병증 위험이 커집니다:

  • 뇌출혈, 뇌경색 (중풍)
  • 심부전, 심근경색
  • 신장 기능 저하
  • 망막 손상, 시력 저하

👉 약을 끊거나 조절할 땐 혼자 결정하지 말고 반드시 전문가 상담이 필요해요!

📌 마무리하며…

고혈압은 꾸준히 관리하면 얼마든지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질환이에요.
약 복용과 더불어 식습관, 운동 등 생활 속 변화도 함께 시작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