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를 위하여

혈압관리,, 고혈압의 관리

YJ Frog 2025. 4. 2. 15:45
반응형

1. 혈압이 뭐야?

"혈압이 높다", "혈압이 낮다"라는 말을 자주 듣지만, 정확히 혈압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혈압은 심장이 혈액을 온몸으로 내보낼 때, 혈관 벽에 가해지는 압력을 말해요. 우리가 혈압을 측정할 때 나오는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 이라는 숫자는 각각 다음을 의미해요:

  •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 심장이 수축하면서 피를 짜낼 때의 압력
  • 이완기 혈압(최저 혈압): 심장이 이완되어 쉴 때의 압력

예를 들어 혈압이 120/80mmHg 라면, 120은 수축기 혈압, 80은 이완기 혈압이에요.

2. 나이별 혈압 관리 기준

나이에 따라 혈압의 기준도 조금씩 달라져요.
일반적인 권장 수치는 다음과 같아요:

연령대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20~30대 110~120 mmHg 70~80 mmHg
40~50대 115~130 mmHg 75~85 mmHg
60대 이상 120~140 mmHg 80~90 mmHg

※ 이 수치는 개인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3. 고혈압이란? 언제부터 고혈압일까?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됩니다.

구분 기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

단, 숫자만으로 판단하지 말고 두통, 안면홍조, 숨참, 불면증 등의 증상이 있는지도 함께 체크하는 게 좋아요.

반응형

4. 경계성 고혈압? 조심해야 할 때는 언제?

정상과 고혈압 사이, 수축기 130~139mmHg, 이완기 85~89mmHg 정도를 고혈압 전단계 혹은 경계성 고혈압이라 해요.

이 상태를 그대로 두면 수개월~수년 내 고혈압으로 진행될 수 있어요. 생활습관 개선을 반드시 시작해야 합니다.

5. 고혈압 관리, 이렇게 해보세요!

고혈압은 약물치료도 중요하지만, 평소 생활습관이 무엇보다 핵심이에요.

  • 나트륨(소금) 줄이기
    국물 적게 먹기, 짠 음식 피하기, 가공식품 섭취 줄이기
  •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줄이기
    튀긴 음식, 인스턴트, 마가린·버터류 자제
  • 규칙적인 운동
    일주일에 3~5회, 하루 30분 이상 걷기 또는 유산소 운동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심호흡, 취미생활 등 마음의 휴식 시간 갖기
  • 금연 및 절주
    흡연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과음은 혈압을 급격히 높여요

6. 수축기/이완기 혈압의 관리 범위는?

혈압을 나눠서 보면 다음과 같은 범위로 구분할 수 있어요:

구분 정상 고혈압 위험
수축기 110~130 mmHg 140mmHg 이상
이완기 70~85 mmHg 90mmHg 이상

*두 수치 중 하나만 높아도 고혈압일 수 있으므로 둘 다 주의 깊게 관리하세요.*

7. 고혈압이 지속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

고혈압이 장기간 방치되면 다양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
  • 망막 손상 → 시력 저하
  • 콩팥 기능 저하 → 신장 질환

그래서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개선, 필요시 약물 복용까지 포함한 체계적인 관리가 꼭 필요해요.

8. 마무리: 고혈압, 관리가 최선의 치료예요

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릴 만큼, 증상 없이도 치명적인 결과를 부를 수 있어요.

건강한 식습관, 운동, 스트레스 해소 등 일상의 작은 실천이 가장 강력한 치료이자 예방입니다.
오늘부터 내 혈압을 체크해보는 습관, 함께 시작해볼까요?

반응형